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프로그래밍 패턴: 싱글턴과 팩토리 패턴

by insight633 2024. 11. 19.
반응형

프로그래밍에서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. 이러한 패턴들은 반복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험적 지식을 담고 있으며, 코드의 품질을 높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. 오늘은 그 중에서도 싱글턴(Singleton) 패턴과 팩토리(Factory) 패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싱글턴 패턴

정의

싱글턴 패턴은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오직 하나만 존재하도록 보장하는 패턴입니다. 이 인스턴스에 대한 전역 접근을 제공하며, 주로 전역 상태를 관리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데이터베이스 연결, 설정 관리, 로깅 시스템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

특징

유일한 인스턴스: 클래스는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되며, 이를 통해 자원 낭비를 줄입니다.

전역 접근: 생성된 인스턴스는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지연 초기화: 필요할 때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지연 초기화 패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사용 예시

싱글턴 패턴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:

데이터베이스 연결: 모든 데이터베이스 요청은 같은 연결을 사용해야 할 때.

설정 관리: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할 때.

로깅: 모든 로그는 하나의 로깅 인스턴스를 통해 기록해야 할 때.

구현 예제 (Python)

python

class Singleton:

_instance = None

def __new__(cls):

if cls._instance is None:

cls._instance = super(Singleton, cls).__new__(cls) return cls._instance

def some_business_logic(self): #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

pass

# 사용

singleton1 = Singleton()

singleton2 = Singleton()

print(singleton1 is singleton2) # True 위의 예제에서 Singleton 클래스는 _instance 변수를 통해 인스턴스가 이미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, 없을 경우에만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. 이를 통해 두 개의 인스턴스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장단점

장점:

전역 상태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인스턴스 생성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단점:

테스트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 전역 상태가 테스트 간섭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동기화가 필요합니다.

팩토리 패턴

정의

팩토리 패턴은 객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,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할지는 서브클래스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패턴입니다. 이 패턴은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숨기고, 클라이언트 코드와 객체 생성 코드를 분리합니다.

특징

객체 생성의 캡슐화: 클라이언트는 객체 생성 방법을 알 필요가 없습니다.

유연성: 새로운 제품군을 추가할 때 클라이언트 코드를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.

다양한 객체 생성: 여러 종류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.

사용 예시

팩토리 패턴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합니다:

  • UI 구성 요소: 다양한 플랫폼에 맞는 UI 구성 요소를 생성할 때.
  • 게임 개발: 여러 종류의 적 캐릭터나 아이템을 생성해야 할 때.
  • 네트워크 요청: 다양한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 요청 객체를 생성할 때.

구현 예제 (Python)

python

class Button:

def click(self):

raise NotImplementedError("Subclass must implement abstract method") class WindowsButton(Button): def click(self):

return "Windows Button Clicked"

class MacButton(Button):

def click(self):

return "Mac Button Clicked"

class ButtonFactory:

@staticmethod

def create_button(os_type): if os_type == "Windows":

return WindowsButton()

elif os_type == "Mac":

return MacButton()

else:

raise ValueError("Unknown OS type") # 사용

button = ButtonFactory.create_button("Windows") print(button.click()) # Windows Button Clicked button_mac = ButtonFactory.create_button("Mac") print(button_mac.click()) # Mac Button Clicked 위의 예제에서 ButtonFactory는 OS 타입에 따라 적절한 버튼 객체를 생성합니다. 클라이언트 코드는 구체적인 버튼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, 팩토리를 통해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코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장단점

장점:

객체 생성 로직을 분리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입니다.

새로운 객체 유형을 추가할 때 기존 코드를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.

단점:

클래스가 많아질 경우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객체 생성 로직을 캡슐화하면 디버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
결론

싱글턴 패턴과 팩토리 패턴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싱글턴은 전역 상태를 관리하고, 팩토리는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줄여줍니다. 이러한 패턴들을 잘 활용하면 더욱 견고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디자인 패턴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한 부분이므로, 다양한 패턴들을 익히고 실습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. 프로그래밍 패턴을 통해 코드의 품질을 높이고, 팀원 간의 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. 디자인 패턴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여러분의 개발 역량을 한층 더 향상시킬 것입니다.

반응형